기타2008. 4. 27. 22:17

 LG Telecom의 새로운 3G 서비스 OZ(Open Zone의 약자)가 출시 되었다.
 SK Telecom 이나 KTF 처럼 WCDMA 망 도입을 안하고, 동기식인 CDMA Rev.A를 사용 하여 저비용으로 3G시장에 진출을 하였고, 자연히 저렴한 어떠한 서비스가 나오지 않을까 예상되었었다.
 예상처럼, 화상전화를 킬러 컨텐츠로 밀었던 KTF와 달리 실제 PC에서 사용하는 인터넷과 동일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풀 브라우징으로 출시를 하였고, 출시에 맞추어 전략단말기와 전략 요금제를 출시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듯 하다.

- OZ 홈페이지 캡쳐 http://oz.lgtelecom.com/ -
사용자 삽입 이미지

 OZ는 최근기사에 따르면(4.27일 경향신문) 보름만에 가입자가 5만명에 도달했다고 하며, OZ서비스가 고가단말기만이 가능한 상황을 보았을때 매우 선전하고 있다고 한다.

 타업체가 강조해오던 화상통화라는 컨셉은 사람들에게 머리로는 이해가 되지만, 실제 사용에 대한 니즈를 강력하게 이끌어 내지 못하는데 비해(화상전화 요금에 대한 막연한 걱정 , 화상통화가 하기 싫은 상황에 대한 염려 등등의 이유 때문), OZ가 밀고 있는 "평소에 PC에서 쓰던 인터넷을 휴대폰에서 사용한다"라는 명확한 서비스 컨셉은 사람들로 하여금 충분한 관심을 일으키고 있는것 같다.
 또한 위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OZ는 저렴한 요금이 함께 출시가 되었기 때문에 그 위력이 배가 되고 있다.
 - OZ 요금제 -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세이프 요금제가 26,000원(데이터 안심 정액제 10,000원~30,000원) 인것에 비하면 OZ의 6,000원은 엄청나게 싸게 제공하는 것임을 알수 있다.(가족이 함께쓰는 유선 인터넷이 2만원대의 월 이용요금인것을 생각하면 1인당 사용하는 핸드폰 인터넷 통화료는 6000원 선이 적절하다고 생각해 왔는데, 거의 그 금액에 맞는다) --> 그 결과 SK Telecom에서도 10,000원 짜리 데이터 퍼펙트 요금제가 출시되었다.

 사실 SKT 에서도 일반 웹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모바일 웹 뷰어)를 작년에 런칭했고 지금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그 서비스는 웹을 바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자체 서버를 통해 WEB페이지를 이미지로 떠서 가져와서 보여주는 서비스로 동영상등이 안되고, 페이지 스크롤 할때마다 접속해서 다운로드를 받는등 약간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지 않았었고, 완전한 풀 브라우징이라 말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Z의 선전때문에, SKT는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광고를 다시하기 시작했고, SKT가 긴장해야 할 만큼 시장의 경쟁흐름을 변화시키고 있다(이것이 바로 경영전략의 묘미가 아닐까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참고 OZ 단말기 LG-LH2300 -

 이러한 변화가 기존 통신업계에 어떤 변화를 줄것인가가 관심에 대상일 수 밖에 없다.

 우선 SKT는 기존의 무선 인터넷 / 컨텐츠 전략을 변화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동안 SKT는 폐쇄형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왔고,(즉 누구라도 무선인터넷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려면, 무선 네이트 포털에 입점해야 했고, SKT에서 직접 컨텐츠의 입점 및 판매 등을 관리 했었다) SKT가 원하는 형태의 컨텐츠만 공급이 가능하였다(물론 시장초기, 안정된 컨텐츠 품질나, 지적재산권이 불분명한 컨텐츠의 컨트롤 등을 위해서는 훌륭한 조치였다). 따라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업체들은 SKT에 입점 수수료를 지불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진행이 되었었다.
 그러나 풀브라우징이 되면, CP업체들로써는 굳이 무선네이트 포털에 입점하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무선네이트포탈을 고집해야할 이유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SKT 입장에서도 컨텐츠를 폐쇄형으로 관리하는 비용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컨텐츠의 양이 늘어날수록 해당 컨텐츠를 관리하는 인건비와 관리비가 급속도로 커질 수 밖에 없다) 시장상황이 풀 브라우징으로 변경이 되면 현재 상황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결국 SKTelecom도 유선과 무선을 분리한구조(SK Telecom + SK Comms.)를 가져가기 보다는 통합된 형태로 인터넷 서비스를 개발하여 유선과 무선상에서 인터넷 시장을 놓고 동시에 경쟁을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KTF는 그동안 보여왔던 어중간한 태도(SKT처럼 확실한 무선 인터넷전략을 가지고 큰 투자를 하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LGT처럼 저비용 오픈구조를 가져가는것도 아닌)를 버리고, 과감하게 MCP비중을 줄여나가고, KTH등을 활용하여 풀브라우징에 대비한 컨텐츠를 확보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LGT는 네이버, 다음, 구글 과 같은 유선의 강자들을 과감하게 풀브라우징에 끌어들이고, 그들이 OZ에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를 할 것이다. 기존에 무선인터넷에대한 Sunken Cost도 적고, 잃을게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유선의 강자를 이용하여 경쟁의 틀을 바꾸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 매너리 -
Posted by Chai Lee
인터넷, 모바일 산업2008. 3. 24. 20:21
 직업적 특성상 핸드폰으로 모바일 인터넷을 빈번하게 사용하게 된다. 출퇴근길에도 쏠쏠하게 정보를 찾아보기도 하고, 외부에 있어서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할 때 주식시세도 알아보기도 하고 많이 사용한다.
 게다가 뷰티폰을 하나 장만하고나서 Full Touch가 재미있어서 더욱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핸드폰으로 인터넷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 다양한 불편함들을 누구나 바로 눈치챈다.
  1. 화면 가득히 메뉴가 나타나도, 손가락으로 번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서 원하는 메뉴에 도달 해야 하는 점
      (물론 이러한 점은 Full Touch를 지원하는 핸드폰들이 출시되면서 많은 부분 해결하였다.)
  2. 핸드폰 키로써 원하는 바를 입력해야 하는것
       (키보드를 이용해 타이핑 하는것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핸드폰의 입력방식으로 원하는 내용을 타이핑 하고, 접속하기란 만만치 않다.--> 개인적으로 뷰티폰을 써보니, 글자입력 부분은 Touch폰이 되면서 좀더 힘들어 진것 같다 -_-)
   3. 아직 까지는 비싼 비용


 그렇지만, 장점도 분명히 있다. 누구나 다 알지만(그리고 앞에도 썻지만) 컴퓨터는 들고다니면 무겁지만, 핸드폰은 가볍고 주머니 속에 언제나 휴대해서 다닌다. 그리고 위치정보와 결합하여 유선 인터넷이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점과 단점을 가만히 생각하다보면... 모바일 인터넷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어느정도는 힌트가 나오는것 같다.
 (순차적인 생각임 1->2->3->4->...)

 1. 우선 입력방식과 비용의 획기적인 개선이 있기 전에는 인터넷을 접속하는 Main 수단이 되지는 못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대체재(Wi-Fi, 곳곳의 Kiosk 등등)가 너무나 훌륭해서, 굳이 불편한 인터넷 서비스를 추가비용을 내면서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2. Main 수단이 되지 못한다면, 인터넷을 접속하기 어려운 환경이나, 다른 Benefit이 있을때 제한적으로 이용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 이동중에 잠시 사용 or 많은 경품등으로 사용을 유인 할 경우 or 친구찾기 처럼 모바일 특화된 서비스

 3. Main이 아닌 서비스를 위해 비싼 비용(무선 데이터요금 정액제 등)을 지불하지는 않을 것이다.
  --> 하루종일 쓰는것도 아니고, 유선에 비해 느린 속도의 서비스에 1인당 26000원 또는 만 몇천원 하는 요금을 매달 내는 것은 너무 비싸다고 느낄 것이다. 게다가 집에서 쓰는 무제한 인터넷이 2-3만원 선인것을 생각하면, 4인가족 기준으로 개인당 5-6천원에 해당하는 유선 인터넷에 비해 비싸다고 느낄 수 밖에 없다.

 4. 결국 2번에서 말한것 처럼, WEB기반의 강력한 서비스를 정보료와 데이터통화료를 결합한 완전한 형태(가격부담을 줄이는)의 서비스로 수렴하거나 , 실물상품을 포함한 형태로 제품을 구성하여 실물 가격 수준으로 Offer하여 고객에게 언제어디서나 관련된 상품의 경험을 제공하거나, 위치정보를 최대한 사용하는 서비스가 대세가 될것이다.
 --> 내가 사용하는 SKT 기준으로 생각을 해보면,
      첫번째 말한 것과 같은 서비스는 싸이월드-모바일싸이월드가 있는것 같다. 유선 WEB에서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는 SNS 서비스는 이동중에도 니즈가 발생하므로 해당상품을 통화료와 정보료를 통합한것과 같은 상품들이 나와야 하고, 그렇기 때문에 SKT는 유선 인터넷 시장에 뛰어들어 강력하게 경쟁을 할 것이다.
      두번째로 말한 실물상품 결합형 서비스는 '스포츠 매거진 정액제', '여행&'서비스 와 같은 것이 있다. '스포츠 매거진 정액제' 상품은 가입을 하면(사용료 월 4900원) 매주 집으로 '스포츠2.0'(한부에 2000원) 주간지를 배송해준다. 그것만으로도 큰 할인 혜택이라서 매력적이지만, 해당 가입 고객은 스포츠 정보가 궁금할때 핸드폰으로 5000원 까지는 정보료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여행&' 서비스는 비슷한 형태지만 소재가 여행이라서 여행잡지와 여행컨텐츠가 제공된다는 점만이 다르다. 말그대로 핸드폰 중심으로 과금이 일어나지만, 이동중-집, 잡지-전자기기 에서 Cross-Media Experience을 제공하여 고객들을 유인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휴채널을 확보하는것이 중요할 것이다.
      세번째로 친구찾기(아이위치 추적- 아이 범죄를 막기위해) 와 같은 위치정보를 대폭 이용하는 서비스들이 나올것이다. 이러한 것은 GPS내장 핸드폰들이 늘어나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곰곰히 생각해보니,, 구글이나 네이버 등이 핸드폰 인터넷에 강력히 도전하는 이유가 명백해 보인다. 강력한 유선기반을 가지고 기존의 광고모델을 확장하는 단순한 이유뿐만 아니라, 유선의 레버리지를 이용해 정보료 형태의 직접 과금 서비스 시장까지 장악을 할수 있고, 앞으로 더욱 발전할 위치기반 서비스 시장에 도전하기 위해서이다.

 그렇다면, 결국은 위의 3가지 서비스로 사업을 해야하는것인가??

 이 산업의 미래가 궁금해진다. 
 


Posted by Chai Lee
인터넷, 모바일 산업2008. 2. 27. 20:31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핸드폰을 사용하다 보면, 작은 화면과 불편한 UI로 인해 많은 제약이 있음을 느낀다.
 특히나 NATE를 눌러서 작은화면을 통해 원하는 정보가 있는 곳 까지 찾아가는 것은 고통스럽다 (특히 처음 서비스를 찾는경우). 또한 비싼 패킷요금을 쓸때없이, 메뉴를 타고 다니는데 사용해야 하는것도 매우 아깝다.

 쓸때없는 패킷 사용을 줄이고 접속하는데 귀찮은 절차도 필요도 없는 서비스가 있다.
 이름하여 T Interactive.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바탕화면에 깔을 수 있다는 점이다.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가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어 제공하는 개인화 프로그램도, 결국은 자기가 세팅하는 것 보다 정확할 수는 없다. 주식을 원하면 원하는 종목의 주식 정보가 자동으로 화면에 지속적으로 뜬다면 편리할 것이고, 유무선 연동하여 일정관리를 하고 싶으면 그러한 기능을 초기에 배치하여 스케줄을 관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개인의 Attention을 과도하게 요구하지 않는다. 한동안 무선 인터넷서비스의 대세였던 SMS를 통한 데이터 제공 서비스들은, SMS가 수신될 경우 과도하게 사용자의 Attention을 뺏는다. (일하다가 문자가 와서 핸드폰을 꺼내 확인하니, 내가 신청해놓은 뉴스 알림 서비스 - 그다지 재미있는 뉴스도 아니고... 이런경우가 불필요하게 Attention을 빼앗기는 경우다) 그에 비해 T Interactive는 조용히, 그리고 묵묵히 바탕화면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기다릴 뿐이다. 사용자가 핸드폰을 열면 정보를 자연스레 제공을 한다.
 사용자 입장뿐만 아니라, 통신사 입장에서도, 많은 핸드폰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무선인터넷 버튼 = 공포의 과금버튼' 이라는 선입견을 피해,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에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를 확산시킬수 있게된다.
 또한, 단말제조사에게 좌지우지 되지 않고, 자사 이용고객에게 일관된 배경화면 UI를 제공할 수 있으니, 이것또한 사용자와 통신사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구조이다.

현재 T Interactive는 기본 가입 및 설치, 기본뉴스(하루 30개), 날씨 등이 무료로 제공된다. 그 외에도 무료 Expert(Add on 프로그램)도 몇몇 제공이 된다.

SKT를 사용하는 고객이라면 충분히 깔아볼만 하다고 생각되며, 미래 무선인터넷의 방향을 어느정도 체감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osted by Chai Lee